top of page

벼랑끝 이대녀 “이대남보다 우리가 더 힘들어요”

<작성- 편집 배석호 icandoitbae@naver.com, 02-3664-1650> 2021.07.12



컨슈머인사이트, 20대 남녀 ‘삶의 질’ 변화 추이 비교

– 경제인식 상대적으로 긍정적이던 ‘20대 여성’ 코로나 이후 돌변 – ‘삶의 질’ 평가, 20대 남성보다 오히려 부정적으로 – ‘일자리’ 평가, 이대남은 물론 60대보다 낮아 최하위 – 이대남과 다른 개인적-현실적 이유로 폭발할 가능성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에서 긍정적이던 20대 여성(이대녀)이 돌아섰다.

20대 남성(이대남)보다 대체로 낙관적이던 이대녀의 경제인식, 특히 `일자리`와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오히려 비관적으로 변했다.

코로나 이후 일자리 상실과 재확보 어려움에 직면해 최대 피해자가 된 이대녀의 개인적이고 현실적인 좌절의 결과다.

이유는 다소 다를 수 있지만 이대남보다 더 큰 폭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 조사결과는 소비자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매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주례 소비자 체감경제 조사`에서 나타난 20대 남녀의 △일자리 △삶의 질에 대한 인식(지난 6개월 간의 평가)의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평가지수는 100을 중심(평균)으로 클수록 긍정적 평가가, 작을수록 부정적 평가가 우세함을 뜻한다.

이대녀 일자리 평가지수 코로나 직후 대폭락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이대녀의 일자리 평가 지수는 60점대였다(62.3~68.0).

60점대는 강한 부정적 평가를 뜻하긴 하지만 60점 전후(57.2~63.5)였던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반면 이대남(54.9~62.1)은 계속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즉, 이대녀는 2019년 내내 일자리에 대해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계층이었다. 인식에 결정 변화가 나타난 것은 지난해 초 코로나가 본격 확산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된 직후인 2분기부터다.

모든 계층의 일자리 평가지수가 악화된 가운데 이대녀의 경우 코로나 발생 전(67.7)에 비해 무려 29.4p 낮은 38.3으로 곤두박질했다.

그 결과 6.8p 높았던 이대남보다 3.9p 낮은 수준으로 추락했다[그림].

많은 일자리가 사라졌지만 이대녀에게 특히 가혹한 시련이 닥쳤음을 보여준다. 일자리 평가지수는 2021년이 시작되면서 전 연령에서 서서히 좋아지며 2분기에는 1분기에 비해 전체 평균이 13.0p 상승했다.

그러나 이대녀의 상황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이대녀의 2분기 일자리 평가지수는 45.4에 그쳤으며, 이는 전 연령대 중 최저치다.

2019년, 2020년에 다른 연령대에 비해 10p 낮았던 60대 이상 남녀에도 미치지 못 했다.

이대녀가 일자리 측면에서 최대 피해자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 ‘삶의 질’도 끌어내린 ‘일자리 부족’

삶의 질 평가도 약간의 시차를 두고 일자리 평가와 비슷한 궤적을 그렸다.

일자리 부족처럼 직접적이고 동시적인 반응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두 평가 간의 연관성은 분명하다.

2019년 20대의 삶의 질 평가는 타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이었고, 특히 이대녀(90대 전반)는 이대남(80대 후반)보다 훨씬 더 긍정적이었다. 코로나 발생 이후 2020년 2분기부터 삶의 질에 하락이 뚜렷해지고, 이대녀의 경우 하락폭이 더 커 3분기에는 이대남과 거의 동률(이대녀 79.2, 이대남 79.1)이 되고, 4분기에는 이대남(78.2)보다 낮은 수준(76.0)으로 역전된다.

이후 차이가 더 커졌다가 감소하고 있으나(2021년 2분기 이대녀 81.4, 이대남 83.2), 이전으로 돌아가기에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임을 감안할 때 두 항목의 동조화는 자연스러운 결과다.

일자리라는 원인변수가 1분기의 시차를 두고 삶의 질이라는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고 있다. ■ 이대녀, 이대남처럼 폭발할 가능성 있나

지난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이후 이대남의 결집과 정치세력화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기성 정치에 무심하다고 평가되던 그룹이 큰 영향력을 가진 세력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대남이 자신의 삶이 정치 사회적인 이슈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절감하면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같은 20대 청년임에도 이대녀는 전혀 다른 부류인양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 했다.

이대녀의 관심이 이대남에 비하면 정치 사회적 이슈보다는 개인적이고 현실적인 문제에 치우쳐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대녀는 나름 경제정책(최저임금, 주52시간 등)의 최대 수혜자라고 느껴 왔으나, 코로나 이후 발생한 일자리 증발의 최대 피해자가 돼 버렸다. 현실에 대해 가장 긍정적이고 미래에 대해 가장 낙관적이던 이대녀는 현재 가장 부정적이고 비관적 집단으로 변했다.

잡을 수 없는 일자리에 좌절하고, 암울한 미래에 분노하고 있다.

물론 이들도 적절한 자극이 주어진다면 이대남처럼 결집하고 폭발할 수 있다.

이대녀 문제의 원인은 일자리고, 해결 방안도 일자리 뿐이다.


이 조사결과는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2019년 1월 출범한 `주례 소비자체감경제 조사`로부터 나온 것이다.

매주 1,000명(매달 4,000~5,000명)을 대상으로 ▲국내경기 ▲일자리 ▲물가 등 국가경제와 ▲생활형편 ▲수입 ▲소비지출여력 ▲저축여력 ▲부채규모 등 개인경제 영역에 대해 조사했다.

지수는 향후 6개월간의 상황에 대한 예상으로 100보다 크면 낙관, 100보다 작으면 부정이 우세함을 뜻한다.

지수의 상승은 긍정적 방향으로의 이동, 하락은 부정적 방향으로의 이동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WEDDINGS

Describe what you offer here. add a few choice words and a stunning pic to tantalize your audience and leave them hungry for more.

Get In Touch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