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편집 배석호 icandoitbae@naver.com, 02-3664-1650> 2021.04.30
알뜰폰, 갓성비로 상승세 지속...이용층도 젊어져 컨슈머인사이트, 알뜰폰 구매행태-이용현황 비교
– 월 통신료 2만4700원으로 이통3사 평균 4만5900원의 54%
5G 등장에 따른 통신비 증가 대안으로 자급제 + 알뜰폰 각광 작년 10-20대 가입자 비중 22%로 3년전 12%서 크게 늘어

알뜰폰(MVNO) 이용자들이 실제 지출하는 통신요금이 이통3사(MNO) 평균의 절반 수준으로 조사됐다. 압도적인 요금 경쟁력에 힘입어 알뜰폰을 외면하던 20대 이하 젊은 층의 이용이 늘고 있어 시장 점유율은 꾸준히 증가 추세다. 이동통신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매년 2회(3~4월/9~10월, 회당 표본규모 약 4만명) 실시하는 `이동통신 기획조사`에서 나타난 알뜰폰 이용자들의 구매 행태와 요금을 통신3사와 비교했다.

알뜰폰 통신사 가입 이유는 65%가 ‘저렴한 요금’ 2020년 하반기 조사에서 알뜰폰 이용자들의 월 이용요금(단말기 할부금 제외)은 2만4700원이었다. 이통3사 평균 4만5900의 절반 수준(54%)이다[그림1]. 이처럼 저렴한 요금은 알뜰폰을 선택하는 최대 이유다. 알뜰폰 이용자들은 핵심구매요소(복수응답)로 △저렴한 월 요금(65%) △나에게 맞는 요금제(40%)를 선택해 같은 항목에서 각각 10% 안팎에 그친 통신3사에 비해 훨씬 많았다.
반면 △결합할인 혜택 △멤버십 혜택 등에 대해서는 구매 결정시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통신3사 최대 가입 이유가 △결합할인 혜택(37%)이었던 것과 비교된다. 자급제폰에 알뜰폰 요금제... 가성비 조합에 눈길 알뜰폰 통신사 이용자는 통신3사 가입자 대비 자급제폰 구입 비율이 월등히 높은데 이 역시 실속을 챙기기 위한 선택으로 풀이된다.
통신사를 통해 휴대폰을 구입할 경우 지원금, 단말 할인 등을 받기 위해 특정 요금제 이상을 써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가 요금제의 경우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알뜰폰 통신사는 비슷한 조건의 요금제라도 금액이 통신3사의 절반 수준으로 저렴하다.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단말 할인과 저렴한 요금제를 저울질한 결과, 자급제폰을 구입해 저렴한 요금제를 이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5G 요금제는 금액대가 더욱 높아, 5G폰 구매자에게는 처음부터 자유롭게 LTE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는 자급제폰+알뜰폰 통신사 조합이 더욱 각광받고 있다. 젊어지는 알뜰폰 이용층, 20대 비중 18%로 껑충 알뜰폰의 인기가 높아지며 이용자 연령대도 젊어지고 있다.
10대, 20대 이용자가 크게 늘면서 2017년 12%에서 지난해 22%로 성장했다. 특히 20대 가입자 비중은 같은 기간 11%에서 18%로 크게 늘었다[그림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