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한 폐렴이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전세계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우한 폐렴의 증상과 예방법을 알아본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란? 증상은 발열, 기침, 숨가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중국 우한시에서 시작돼 '우한 폐렴'이라고도 불린다.
최근 박쥐에 의한 감염이라는 일부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하고 있으나, 아직 정체가 밝혀지지 않아 백신이나 완치 치료제가 없다.
증상으로는 발열이나 기침, 숨가쁨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증상에 대한 치료만 이뤄지고 있다.
2015년 유행했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나 앞서 2002년 퍼졌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등도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이었다. 메르스는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사스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바이러스마다 전파력과 치명률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간 전파 가능성…급격한 전파 위험
중국 내에서 하루만에 의료진 15명에서 감염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사람 간 전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 광동성에서 발생한 환자 중 2명은 우한시에 간 적이 없으며 가족이 우한에 다녀온 후 감염된 것으로 알려졌다.
밀접접촉자 간 감염이 발생하면 격리조치 후 적절히 대응할 수 있지만, 지역사회를 통한 감염이면 급격하게 감염병이 전파될 수 있다.
2002년 발생했던 사스는 변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으로 호텔이나 아파트 등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했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우한시 수산시장을 방문하지 않았거나 환자와 접촉한 적이 없는 사람까지 감염됐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대부분 침을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까지 정체가 밝혀지지 않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사례에 비춰볼 때 공기보다는 침이나 손을 통한 감염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수칙은?
실제 전파 경로가 손일 경우 손씻기로 감염을 예방해야 한다. 감염자나 바이러스 잠복기 상태인 사람이 코나 입을 만지면 그 손에 바이러스가 묻는다..
그 손으로 문 손잡이를 만지면 바이러스가 남아 다음 사람의 호흡기로 옮을 수 있다.
손을 철저히 자주 씻는 것이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는 길이다.
중국 우한시를 방문하는 경우에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을 위해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가금류나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시장 방문은 금해야 한다.
또한, 발열이나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와 접촉을 피하고 손씻기, 마스크 착용, 손이 아닌 옷소매에 하는 기침 예절 등을 준수해야 한다.
우한시를 방문한 후 귀국해서 14일 이내에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면 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 콜센터로 문의해야 한다.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씻고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는 해외여행력을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