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0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은행은? - ‘워라밸 문화’… 일자리 판도 달라졌다

- 진격의 카카오, 대학생 선호기업 1위에 이어 대학생 선호은행도 1위 우뚝

<그림. 인크루트X알바콜 선정 ‘2020 대학생이 꼽은 가장 일하고 싶은 은행’ TOP7>

2020 대학생이 꼽은 가장 일하고 싶은 은행 1위에 카카오뱅크가 꼽혔다.

비대면 서비스를 등에 업고 날개를 단 디지털 뱅킹의 성장세와 달라진 금융 생태계의 단면이 전해진다. 취업포털 인크루트(대표 서미영 www.incruit.com)가 <2020 대학생이 꼽은 가장 일하고 싶은 은행> 순위를 발표했다.

올해는 바로면접 알바앱 알바콜(albacall.incruit.com)과 공동조사로, 시중은행 중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1곳과 그 이유에 대해 단일선택 받았다.

총 1,045명의 대학생 회원이 참여했다. 그 결과 2020년 대학생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은 은행은 ▲카카오뱅크가 차지했다.

총 27.3%의 득표율로 ‘최다득표 기업’의 영예를 안게된 것. 카카오는 인크루트가 선정한 2020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1위에 이어,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은행에서도 1위에 올라 독주했다.

- 한편, 은행 입사 이유? 급여 아닌 ‘성장 개발 가능성’, ‘워라밸 문화’… 일자리 판도 달라졌다

이렇듯 카카오뱅크가 출범 4년 차에 가장 일하고 싶은 은행이 된 배경은 무엇일까?

대학생들이 카카오뱅크에서 일하고 싶어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성장ㆍ개발 가능성과 비전(38.7%)이었다.

이어서 △워라밸을 중시하는 기업풍토(10.3%) 및 △(포스트 코로나) 장래 사업성 유망(9.1%) 역시 많은 선택을 받았다.

반면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체계’(3.6%)를 꼽은 비율은 극히 적었다. 카카오뱅크는 디지털 뱅킹을 선호하는 젊은 층 사이에서 저변을 쌓아 왔고 특히 대학생의 기호에 부합했다.

최근 언택트 확산에 힘입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했다고 볼 수 있으며, 기업문화 역시 다른 은행들과 비교해 수평적이고 근무시간도 유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 은행권 입사시 이전에는 연봉이 가장 큰 이유였다면 현재는 성장 가능성과 기업문화 그리고 장래성에 대해 보다 매력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던진다. 2위에는 ▲KB국민은행(17.7%)이 올랐다.

1위 카카오뱅크와는 9.6%P의 격차를 보였다. KB국민은행을 선택한 이유로는 △동종업계와 지역사회에서 선도기업의 이미지(28.7%) 및 △만족스러운 급여 및 보상체계(15.9%)가 1,2위로 집계됐다. 3위와 4위는 ▲신한은행(13.6%)과 ▲기업은행(11.0%)이 꼽혔다.

모두 두 자릿수 득표율로 BIG4를 형성했다. 5위는 ▲NH농협은행(9.9%), 6위는 ▲우리은행(6.8%), 7위부터는 득표율이 소폭 줄었는데 7위 ▲하나은행(3.8%), 8위 ▲KDB산업은행(3.7%), 9위 ▲BNK부산은행(1.8%) 그리고 ▲한국씨티은행(1.1%) 순으로 10위권이 가려졌다. 한편, 전공별 교차분석 결과 △공학계열 전공자들은 ▲카카오뱅크(28.3%)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상대적으로 높은 디지털 직무 수요를 반영이라도 하듯 공대생에게서 가장 큰 인기를 받은 것이다. 이렇듯 카카오뱅크가 대학생들이 가장 일하고 싶은 은행으로 선정된 배경에 대해 서미영 인크루트 대표는 “비단 카카오뱅크가 국민메신저 카카오톡 플랫폼을 활용해 스킨십을 강화해온 점 외에도, 인터넷전문은행으로서 카카오뱅크가 보여준 새로운 기업문화와 IT 직무수요 증대가 판가름을 냈다고 본다”면서 “앞으로도 금융권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이 곧 신규인재 선점의 승부처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어떻게 조사했나♣

▲조사시기 : 2020. 06. 02 ~ 06. 05 (4일간) ▲설문대상 : 전국의 대학생 회원 1,045명 (男 422명, 女 623명) ▲표본오차 : ±2.56% (신뢰수준 : 95%) ▲조사방법 : E-mail 설문조사 ▲대상기업 : 시중은행(1금융권) ▲조사내용 : - 일하고 싶은 기업 : 가장 일하고 싶은 은행 및 그 이유(단일선택) - 선택이유 :

△구성원으로서의 자부심

△동종업계와 지역사회에서 선도기업의 이미지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제도

△우수한 복리후생

△고용안정성(낮은 인력감축 위험)

△성장, 개발 가능성과 비전

△워라밸을 중시하는 기업 풍토

△임직원의 참여와 소통을 바탕으로 하는 기업 문화

△경력개발의 기회

△관심업종

△ (포스트코로나) 장래 사업성 유망 총 11개 항목 EndFragment

WEDDINGS

Describe what you offer here. add a few choice words and a stunning pic to tantalize your audience and leave them hungry for more.

Get In Touch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