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치매환자가 코로나에 더 취약하다" -한국뇌연구원 발표

조선닷컴은 치매환자가 코로나에 더 취약하다 (7월13일) 고 보도했다.

img option modified under300 right 20150828

다음은 보도의 전문이다.

국내 연구진이 치매 환자가 코로나에 취약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한국뇌연구원(KBRI)은 주재열·임기환 박사팀은 “고령의 알츠하이머 환자에게서 코로나 바이러스의 수용체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감염저널’ 6월 30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Ace2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침입할 때 이용하는 수용체다.

◇치매 환자에서 코로나 수용체 발현 증가 코로나 바이러스는 70대 이상의 고령자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이며, 폐렴,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한국뇌연구원 연구진은 노년층에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기저질환인 치매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위험성을 뇌질환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는 고령 환자의 뇌조직과 혈액의 유전체 정보가 담긴 빅데이터와 전사체 분석기법(RNA 시퀀싱)을 통해 Ace2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일반 노년층보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노년층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세포 안으로 끌어들이는 Ace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모델 마우스의 뇌조직에서도 같은 변화를 확인했다. ◇치매 증상 심할수록 코로나 감염 노출 위험 커 또 치매 초기, 경증, 중증 환자그룹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치매가 진행될수록 Ace2 유전자의 발현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Ace2가 많이 발현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큰 감염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질환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간 상관관계를 새로이 보고함으로써, 고령의 치매 환자가 일반 노인보다 코로나에 더 취약하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퇴행성 뇌질환을 기저질환으로 가지는 노년층에 대한 새로운 진단 접근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13/2020071300696.htmlEndFragment

WEDDINGS

Describe what you offer here. add a few choice words and a stunning pic to tantalize your audience and leave them hungry for more.

Get In Touch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