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부터 공원, 한강, 관광명소 등 17곳에 ‘까치온 핫플레이스’를 조성한다 공공와이파이 ‘까치온’ 이용해보셨나요? 서울시는 작년 5개 자치구에서 시범서비스를 시작하고, 올해 3월에는 공공시설 1,400여 곳에 ‘까치온’을 구축했다.
5월부터는 공원, 한강, 관광명소 등 17곳에 ‘까치온 핫플레이스’를 조성한다.
야외에서도 4배 빠른 공공와이파이를 끊김 없이 빠르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서울맵이나 까치온 QR코드를 이용하면 ‘까치온 핫플’ 장소를 확인할 수 있다.
광화문, 5대 궁, 한강공원 등 17곳에 ‘까치온 핫플’ 조성
5월 1일부터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와 공원 17곳에서 기존보다 더 빠르고 강력한 고성능 공공와이파이 ‘까치온’이 터진다. 서울시는 작년 5개 자치구(성동, 구로, 은평, 강서, 도봉)에 ‘까치온’을 설치, 공공와이파이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자치구 내 주요도로, 전통시장, 공원, 하천, 산책로, 문화체육시설, 지하철 역사 주변 등 공공생활권 전역에 설치했다.
올해 3월에는 어르신‧장애인복지관, 청소년쉼터, 도서관, 일자리‧창업지원센터를 비롯한 서울의 실내 공공시설 1,400여 곳에 ‘까치온’을 구축했다. 시는 시민이 즐겨 찾는 공원, 한강, 관광명소 등 17곳을 ‘까치온 핫플레이스’로 조성한다고 밝혔다. 야외에서도 4배 빠른 공공와이파이를 끊김 없이 빠르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목표다. 까치온 핫플레이스는 기존 공공와이파이 까치온을 ▴4배 빠른 속도 ▴동시 접속자수 2.5배로 확대 ▴이용 반경 확장(30m→70m) ▴높은 수준의 암호화(WPA3) 등 고성능의 신형 까치온으로 교체‧보강한 곳이다.

가로등에 붙어있는 까치온 안내판
서울시는 시민들이 서울 전역의 까치온을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스마트 서울맵에 까치온 지도를 공개했다.
까치온 QR코드나 URL로 모바일 접속하면 서울시 전역에 1만여 대 이상 설치된 까치온을 지역별로 어디에 설치돼 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외국인을 위한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번역서비스도 한다. 서울시 외국어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